김지하시인추모문화제추진위원회 ‘김지하를 다시 본다’ 출간
애즈뉴스
0
2024.12.18 02:52
김지하시인추모문화제추진위원회가 ‘김지하를 다시 본다’를 펴냈다.
1부에는 염무웅, 이부영, 유홍준, 임진택, 임동확, 김사인, 홍용희, 정지창, 채희완, 심광현 등 30여 명이 ‘김지하의 문학·예술과 생명사상’이라는 큰 주제 아래 ‘김지하의 문학과 예술, 미학’, ‘김지하의 그림과 글씨’, ‘민주화운동과 김지하’, ‘김지하의 생명사상과 생명운동’으로 나누어 주제 발표와 토론을 한 후 정리한 내용과 종합토론을 한 내용을 정리해 놓았다.
2부에는 ‘김지하가 남긴 글과 생각-생명의 길·개벽의 꿈’이라는 제목으로 김지하가 남긴 수많은 글 중에서 꼭 다시 읽어봐야 할 글을 골라 실었다.
암울한 시대에 수많은 젊은이를 위로하고 힘주었던 글 ‘양심선언’, ‘나는 무죄이다’, 로터스상 수상 연설인 ‘창조적 통일을 위하여’, 환경오염과 기후 위기 등 현시대의 문제점들을 수십 년 앞서서 말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한 ‘생명의 세계관 확립과 협동적 생존의 확장’, ‘개벽과 생명운동’, 김지하가 자신의 문학에 대해 쓴 ‘깊이 잠든 이끼의 샘’, 김지하가 남긴 생명사상을 살필 수 있는 ‘생명평화선언’, ‘화엄개벽의 모심’ 등 진지하게 김지하를 다시 보고 다시 만나기를 바라는 간곡한 마음으로 원고를 모았다.
김지하 시인은 50년 전 민청학련 사건으로 사형선고를 받았고(이는 1974년 11월 18일 한국작가회의 전신인 자유실천문인협의회가 결성된 직접적인 계기가 됨), 동아일보 기자들의 자유언론수호 투쟁 속에 연재된 글 ‘고행... 1974’가 문제가 돼 다시 감옥에 갇혀야 했던 민주화 투쟁의 상징적 인물이었다.
2022년 김지하 시인이 세상을 떠났을 때 그는 이미 사람들에게 많이 잊혀져 있었고, 그를 아는 사람 중에도 그의 ‘훼절’에 대한 불쾌한 감정으로 그 이름을 기억에서 떨쳐내려고 하는 사람들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1970년대 이후 탁월한 문학적·예술적·미학적 성취를 이루었고, 백척간두의 정치투쟁에 치열하게 임했다. 또한 누구보다도 앞서 생명운동을 주창한 생명사상가였다. 이런 김지하는 결코 폄훼돼서도 안 되고 잊혀서도 안 될 인물이라는 생각에 시인과 가까이 지내던 동료와 후배들이 뜻을 모아 이 책 ‘김지하를 다시 본다’를 출판하게 됐다.
김지하 시인은 이미 40여 년 전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제반 상황들, 즉 생명 경시와 환경 파괴, 기후 위기와 전염병의 창궐, 핵전쟁 위기를 예견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시인은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때에 생명사상이란 화두를 높이 든 생명사상가이자 생명운동가였다. 이런 김지하가 누구였는지 세상에 다시 간곡히 알려서, 세상 사람들로 하여금 시인의 생명 세계관에 입각한 문명 전환의 길에 나서게 하는 데에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 엮은이의 글 중에서
그는 횔덜린과 달리 정치투쟁의 일선에서 네 차례나 감옥을 경험하고
죽음의 위험을 통과한 뒤에야 영성과 생명이라는 결정적 화두에 이르렀다.
그 지난한 과정에는 오랜 시간의 가혹한 독방과 치열한 독서와
건곤일척의 사색이 있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 염무웅(문학평론가, 영남대학교 명예교수)
일본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오에 겐자부로 선생은 기회 있을 때마다 자신이
아니라 김지하 시인이 노벨문학상을 받았어야 했다고 술회했다.
분단 한국에서 조선의 문화적·이념적 전통을 잇고 새롭게 해석하면서
투쟁을 벌인 김지하야말로 인류 보편적 문화·예술을 대표한다고 보았다.
- 이부영(자유언론실천재단 명예이사장)
김지하는 결국 흰 그늘이 서린 모란꽃을 화사한 채색화로 그리다
세상을 떠났다. 묵란으로 시작하여 묵매로, 그리고 달마도로,
또 수묵산수화와 채색 모란도로 화제를 옮기며 생애 후반,
붓을 놓지 않은 김지하는 실로 위대한 현대 문인화가였다.
- 유홍준(미술평론가 명지대학교 석좌교수)
단언하건대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제반 상황들, 생명 경시·환경 파괴·
기후 위기·전염병 창궐·핵전쟁 위기를 보면 김지하의 예언은 맞았다.
이에 대한 대안과 처방을 김지하는 40년 전부터 이미 ‘타는 목마름으로’
갈구했고, 모색했고, 제안했고, 실험했고, 행동했고,
그리하여 기진할 때까지 절규했다.
- 임진택(창작판소리 명창, 마당극 연출가)
◇ 도서 정보
· 도서명: 김지하를 다시 본다
· 엮은이: 염무웅 이부영 유홍준 임진택
· 글쓴이:
- 1부: 이부영 임진택 염무웅
임동확 서승희 김사인 이재복 홍용희 백현미
정지창 김봉준 채희완 이윤선 심광현 김수현
유홍준 홍성담
김정남 미야타마리에 히라이히사시
박맹수 김용휘 조현범 김선필 이기상 심광섭
주요섭 김소남
김용우 유정길 김영래 김영동 이병철
- 2부: 김지하
· 기획·제작: 이애주문화재단, 한국작가회의 50주년 기념사업단
· 펴낸곳: 개마서원
· 펴낸날: 2024년 11월 18일
· ISBN: 979-11-989453-1-0
· 사양: 신국판 152×224/1056쪽/양장제본
· 가격: 5만4000원
· 문의: 김지하시인추모문화제추진위원회, gillayang@hanmail.net
◇ 차례
발간사/06
김지하, ‘해방을 통해 생명으로’|이부영(자유언론실천재단 명예이사장)
책머리에/10
잊혀진 이름, 김지하|임진택(창작판소리 명창, 마당극 연출가)
1부 김지하 추모 학술 심포지엄 김지하의 문학·예술과 생명사상
기조 발제|시인 김지하가 이룬 문학적 성과와 유산|38
염무웅(문학평론가, 영남대학교 명예교수)
· 김지하의 문학·예술과 미학
1주제_생성과 역사, 그리고 생명의 문법|70
— 김지하의 초기 시세계와 시론
발제|임동확(시인, 한신대학교 교수)
2주제_김지하 후기시에 관한 한 생각|114
— 생명·흰 그늘·못난 시
발제|김사인(시인)
3주제_김지하‘담시’의 형식 미학과 풍자성|168
발제|홍용희(문학평론가,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
4주제_김지하의 민중문화예술운동|208
발제|정지창(평론가, 전 영남대학교 교수)
5주제_김지하의 생명미학과 악·가·무 천지굿론|250
발제|채희완(부산대학교 명예교수)
6주제_정치와 미학의 어긋난 궤적 연결하기|320
김지하 미학 사상의 특이성에 대한 역사지리인지생태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발제|심광현(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 김지하의 그림과 글씨
특별 주제_ 붓끝에 실려 있는 모시는 마음|386
발제|유홍준(미술평론가, 명지대학교 석좌교수)
· 민주화운동과 김지하
특별 강연 ①_ 김지하 재판의 막전막후|424
김정남(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특별 강연 ②_ 김지하 구원운동의 의미와 일·한 시민연대|436
히라이 히사시(교도통신 객원논설위원)
· 김지하의 생명사상과 생명운동
1주제_김지하 생명사상의 뿌리 - 동학을 중심으로|476
발제|박맹수(원광대학교 명예교수)
2주제_김지하와 한국 기독교사상|510
발제|조현범(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3주제_21세기 생명위기에 대응할 김지하의 생명학|548
발제|이기상(한국외국어대학교 명예교수)
4주제_김지하의 생명사상과 생명운동의 전개|594
발제|주요섭(생명운동가)
2부 김지하가 남긴 글과 생각 - 생명의 길·개벽의 꿈
양심선언|676
나는 무죄이다|701
창조적 통일을 위하여 -‘로터스상’ 수상 연설|722
생명의 세계관 확립과 협동적 생존의 확장|729
개벽과 생명운동|816
깊이 잠든 이끼의 샘|880
생명평화선언|932
화엄개벽의 모심|978
김지하추모문화제추진위원회 소개
김지하시인추모문화제추진위원회는 시인의 동료·선후배들이 김지하 시인과 시인이 세상에 펼친 뜻, 그리고 사상을 잊지 않고 기리고자 만든 단체이다. 지난 2022년에 시인의 49재 추모문화행사와 2023년에 김지하추모학술심포지엄을 치른 바 있으며, 올해 추모문집 ‘김지하를 다시 본다’를 발간하는 등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